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붉은 갓 vs 표범 광대버섯(구별,독성,주의)

by 녹쿨 2025. 8. 4.

어제는 살짝 비가 오더니 날씨가 화창합니다. 모두 더위 조심하시고 휴가이신 분들 좋은 시간 되시기 바랍니다. 요즈음 그리고 가을이 되면  많은 캠퍼와 등산객들은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버섯을 발견하게 됩니다. 특히 광대버섯류는 화려한 외형으로 눈길을 끌며 사진 촬영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광대버섯 중 일부는 강력한 독성을 지녀 채집이나 섭취는 생명을 위협할 수있습니다.

붉은 갓 광대버섯
붉은 갓 광대버섯

붉은 갓과 표범 광대버섯 구별하는 법

붉은 갓 광대버섯(Amanita muscaria)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독버섯 중 하나입니다. 선명한 붉은색 갓과 흰 점이 특징이며, 갓 크기는 8~20cm로 큽니다. 줄기에는 흰색 고리와 전구형 밑동이 있습니다. 갓은 초기에는 반구형이며, 성숙할수록 편평하게 퍼지고 가장자리에 줄무늬가 생깁니다. 갓 위의 점들은 보편막의 잔해로, 빗물에 씻겨 나갈 수 있습니다.

 

표범 광대버섯(Amanita pantherina)은 갈색 또는 회갈색 갓에 흰색의 사마귀 형태 점이 있으며, 갓 표면은 윤기 있게 반짝입니다. 갓 크기는 5~12cm로 붉은 갓보다는 다소 작고, 줄기와 고리, 밑동 구조는 유사하지만 밑동에 뚜렷한 망상 무늬가 나타납니다. 포자색은 역시 흰색이며, 광대버섯속 특유의 특징들을 공유합니다. 성장 단계나 습기, 일조량, 토양 등에 따라 외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단순히 색상이나 점의 유무로 식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표범 광대버섯
표범 광대버섯

독성 성분

광대버섯류의 주요 독성 성분은 이보텐산(Ibotenic acid)과 무스카몰(Muscimol)입니다. 두 물질은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모방하거나 방해하여, 중추신경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붉은 갓 광대버섯은 환각, 어지럼증, 복시, 졸림,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일부에서는 기분 고양이나 몽롱함 등의 정신 증세도 동반됩니다. 증상은 섭취 후 30분~2시간 내 시작되며, 일반적으로 6~12시간 안에 사라지지만 드물게 심각한 상태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표범 광대버섯은 같은 독소를 더 고농도로 포함하고 있어, 붉은 갓보다 훨씬 강한 중독 증상을 나타냅니다. 구토, 설사, 고열 외에도 의식 소실, 환각, 발작, 호흡 억제 등이 나타나며, 중증인 경우 사망 위험도 존재합니다. 국내외에서 간헐적인 치사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 및 노약자는 극소량 섭취로도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독소들은 열에 강하고 조리나 삶는 것으로도 제거되지 않으며, 해독제 또한 존재하지 않아 대증요법과 빠른 응급처치만이 유일한 대처법입니다.

행동 지침

캠퍼나 등산객이 광대버섯류를 발견했을 때 가장 중요한 행동 원칙은 “절대 먹지 않는다”입니다. 아래는 기본적인 구별 포인트입니다  붉은 갓은 붉은색 또는 주황색이고  표범은 갈색 또는 회갈색입니다. 갓 표면:은 붉은 갓은 크고 부드러운 흰 점, 표범은 작고 단단한 사마귀 형태라 하고, 줄기 하단은 붉은 갓은 둥글고 부풀어 있으며, 표범은 망상 무늬가 특징입니다.

 

그러나 이들은 날씨, 시간, 토양에 따라 모습이 달라질 수 있어, 외형만으로 완전한 식별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야생에서 발견한 버섯은 절대 손대지 않고, 사진 촬영이나 기록만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야생 버섯은 절대 섭취하지 않고, 아이와 반려동물이 버섯에 접근하지 않도록 지도합니다.  버섯을 만졌다면 손을 깨끗이 씻고 눈, 입을 만지지 않으며, 중독이 의심될 경우 사진, 채취 장소, 시간 등 정보를 기록하고 즉시 병원으로 이송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붉은 갓 광대버섯과 표범 광대버섯은 모두 외형적으로 아름답고 흥미로운 존재이지만, 극도로 위험한 독버섯입니다. 특히 표범 광대버섯은 훨씬 더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어, 극소량으로도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자연 속 야생버섯은 관찰과 학습의 대상으로 삼아야 하며, 호기심에 섭취하거나 민간요법에 의존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야생에서 식용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는 것은 위험할 수밖에 없으며, 반드시 전문가의 자문을 받거나 아예 채집을 하지 않는 것이 현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