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목한 돌주발버섯(외형,환경,안전수칙)

by 녹쿨 2025. 8. 12.

돌주발버섯 풀어서 얘기하자면 돌처럼 단단한 밥그릇모양의 버섯이라고 합니다. 참 여러가지 모양의 버섯이 존재합니다. 버섯이라면 우산모양의 버섯만 있을 거라는 편견을 보기좋게 깨버리는 독특한 모양과 생태의 야생 버섯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산악지대에서 종종 발견되며, 초보 등산객부터 버섯 애호가까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돌주발버섯
주황색 돌주발버섯

 

돌주발버섯은 이름처럼 돌로 만든 주발을 닮은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갓은 반구형에서 점차 편평하게 펴지며, 표면은 회갈색 또는 짙은 갈색을 띠고 고르지 않은 결이 특징입니다. 버섯의 가장자리는 종종 울퉁불퉁하고 미세한 균열이 있어 다른 버섯과 구분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버섯의 갓 지름은 대체로 5~15cm 정도로, 산악지대의 계절과 토양 조건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줄기는 굵고 짧으며, 바닥 부분이 약간 넓어져 안정적으로 서 있습니다.

 

특히 표면이 마른 듯한 질감을 보이지만 습도가 높아지면 다소 미끄럽게 변합니다. 식별 시 가장 주의할 점은 돌주발버섯과 유사한 독버섯이 많다는 것입니다. 색상이나 모양만으로 섣불리 판단하지 말고, 갓과 줄기의 결, 포자 색, 발생 시기까지 종합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돌주발버섯
붉은 돌주발버섯

서식하는 환경

돌주발버섯은 주로 해발 500~1,200m의 산악지대에서 발견됩니다. 낙엽이 두껍게 쌓이고 배수가 좋은 토양에서 잘 자라며, 특히 참나무, 너도밤나무, 소나무 등과 공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름 장마철 이후부터 가을까지가 주요 발생 시기로, 습도가 높은 날이나 비가 내린 후 다음 날에 발견 확률이 높습니다. 서식지는 대체로 사람의 접근이 적고, 토양이 오염되지 않은 청정 지역입니다.

 

돌과 이끼가 섞인 토양에서도 잘 자라며, 빛이 부분적으로 드는 반음지 환경을 선호합니다. 등산객이 주의해야 할 점은 돌주발버섯이 독성을 가질 수 있다는 연구가 일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식용 가능 여부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만큼 채취 후 섭취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사진 촬영이나 기록을 통해 관찰하는 방식이 안전하고 자연보호에도 도움이 됩니다.

돌주발버섯
돌주발버섯

관찰 및 안전 수칙

돌주발버섯을 관찰할 때는 먼저 주변 환경을 살펴야 합니다. 낙엽이 두껍게 쌓인 경사진 곳, 그늘진 숲속, 돌무더기 주변이 주요 포인트입니다. 버섯을 발견했다면 손으로 직접 만지기 전에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부 버섯은 접촉만으로도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관찰 후에는 버섯을 훼손하지 않고 원래 자리에 두어야 합니다.

 

버섯은 포자를 통해 번식하는데, 무심코 채취하면 해당 지역의 버섯 군락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산행 중 버섯을 채집하는 것은 일부 국립공원이나 보호구역에서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므로 사전 규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촬영 시에는 버섯의 갓, 줄기, 서식 위치 등을 다양하게 기록해 두면 향후 버섯 동정(동일종 판별) 작업이나 자연관찰 기록에 유용합니다. 무엇보다, “멋있어 보여도 먹지 않는다”는 원칙을 꼭 지켜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돌주발버섯은 아름답고 신비로운 산속 생물로, 등산객에게 특별한 발견의 즐거움을 줍니다. 그러나 독성 여부가 불확실하므로 관찰과 기록에 그치는 것이 안전합니다. 자연을 존중하며 산행을 즐기는 것이 버섯과 공생하는 첫걸음입니다.